본문 바로가기

일상

TEMP BOX 파트 이론정리

반응형

누전차단기

전기에너지(전류)는 위험하기에 전기기구, 전선 등에는 안전을 위하여 절연해야 한다. 절연재료를 사용하여 도전부의 외부를 덮는 것을 절연이라 하고 그 재료를 절연물이라고 한다. 그러나 절연이 되었다고 해서 전기가 전혀 통하지 않는 것은 아니다. 절연에 사용된 절연물은 절연저항을 가지고 있고, 전압을 가하면 미약한 전류가 흐르는데, 이것을 누설전류(漏泄電流)라고 한다.

 

사용이유 : 따라서 절연물에 전기가 흐르면 열이 발생하고 그 열로  열화(劣化)가 진행되면 누설전류가 증가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감전, 누전, 화재 등의 사고로 이어지게 된다. 이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자동적으로 전원을 차단하는 지락차단기(地絡遮斷器)인 누전차단기(ELB: Earth Leakage Breaker)를 사용해야 한다.

누전차단기의 구성 누전검출부, 영상변류기(ZCT), 차단장치 및 시험용 버튼으로 구성되며, 동작시 영상변류기의 특성이 이용된다. , 사고가 발생되면 영상변류기를 통과하는 왕로(往路)전류(i+ig)와 기로(岐路)전류(i)에는 누설전류(ig)만큼의 차이가 생겨 이때 차단기를 동작시키게 된다.

누전차단기의 설치방법 ①누전차단기를 접속한 경우에도 가능한 한 접지, ②분기회로 또는 전기기계기구 마다 설치, ③배전반 또는 분전반에 설치, ④서로 다른 누전차단기의 중성선이 누전차단기의 부하 측에서 공유되지 않도록 설치, ⑤정방향으로 설치
전기시스템의 안전을 위하여 누전차단기의 동작확인은 매월 1회 하되, 시험용 버튼을 누르거나 누전차단기용 테스터를 사용하여 확인하여야 한다.

 

https://blog.naver.com/e077/201135122

 

 

 

전자접촉기

 

전자접촉기는 전자기를 이용한 기기입니다.

외부에서 전기신호를 주면 Moving Core가 전자력으로 두 접점이 붙어 전기가 통하게 됩니다.

전자접촉기에는 과전류 보호 기능이 없어서,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가 추가된 전자계폐기를 사용하여야 합니다.

 

3.사용상 주의할 점

통상적으로 모터 부하를 연결할때  M/C를 주로 사용하며

제품의 선정시 정격전압및 전류를 고려하여야 한다.

접촉이 빈번하게 이뤄지는 장비나 기구 일수록 정격에 맞는 선정이 필요하다.

 

 4.MC 사용방법/마그네트 스위치 사용법

코일접점(A1, A2) : 주의! 이곳에 전원정격전압이 맞지 않으면 MC코일이 타버리므로 주의하세요.

주접점(R/1/L1, S/3/L2, T/5/L3) :  MC 1차측으로 불리며 3상전원을 사용하는 모터나 히터의 경우 차단기에서 내려온 전선을 결선한다. 통상 좌측에서 R, S, T 순으로 결선한다. 결선 될 전원은 사용부하 정격에 맞춰 결선한다.

주접접(U/2/T1, V/4/T2, W/6/T3) : 부하에서 올라온 선을 결선하는 부분을 MC 2차측이라고 한다.

전자접촉기(전자 개폐기) 정격용량 표시부

*.마그넷 스위치의 경우 말그대로 스위치 형태이므로

   전원이 인가된 상태에서 주황색 꼭지를 누르면 부하가 동작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모터 시퀀스회로가 잘못되어 전자개폐기를 동작시키지 못할경우

   임시 방편으로 주황색 꼭지를 강제로 눌러 임시 구동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방법은 약간은 모터측의 회로를 점검, 확인한후 실행하여야 되며

    전기적인 지식이 없이는 위험한 방법이므로 사용자의 주의가 필요하겠다.

http://m.blog.daum.net/oldmonk/17087909?tp_nil_a=2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anthrax74&logNo=130131057605&proxyReferer=https%3A%2F%2Fwww.google.com%2F

 

 

 

SSR

무접점식 릴레이(차단기)의 대표적인 것으로, 반도체를 이용한 전자릴레이를 이른다.

SSR은 그림과 같이 입력 측과 출력 측을 광반도체로 전기적으로 절연하고 있다. 발광 측에는 가시영역에 있을 필요는 없으므로 갈륨이나 비소처럼 효율이 좋은 적외광의 발광 다이오드, 수광측은 갈륨ㆍ비소의 발광파장과 거의 같은 파장 감도를 갖는 실리콘계 포토 트랜지스터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스위치를 닫았을 때는 입력 측에 소요 전류를 흘려 발광 다이오드를 발광시킨다. 출력 측에서는 발광 다이오드의 발광을 받아 포토 트랜지스터가 작용하여 미소한 발광 입력이 있어도 그것을 증폭해서 출력 측 회로가 닫혀 스위치는 OFF가 된다.

 

 

[네이버 지식백과] SSR [solid state relay] (첨단산업기술사전, 1992. 5. 1., 일본통상성)

 

 SSR을 사용하는가?

무엇을 검토해야하는가?

 

부하전류(정격이내)

돌입전류(FUSE선정)

사용전압(,역운전에는 배전압 발생)

직류밸브에 주의(역기전압이 전원의 10)

제어반 배기구(방열효과)

       

[출처] Solid State Relay(SSR) 테크니컬 가이드|작성자 자바스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gold4k&logNo=220217292886

 

 

 

온도조절기

 

모듈형 온도조절기 / PID 제어방식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