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원자재[원유]에 주목하는가?
순수한 세계경제 지표
원자재의 지표:원유시장
경기 흐름 지표? 구리
건설, 제조업 등에 많이 쓰이는 구리.
전선에 구리 포함되니까.
*원자재(구리, 원유)에 주목하라
앞으로 일어날 경기흐름을 예시하는 지표
-원유시장 개발
*원유 시장의 구성
WTI:서부 택사스유, 미국국내판 유통 but 국제유가기준(품질 최고급)
두바이유:중동권 현물거래 중심, 한국 석유의 80%차지(물질 나쁨)
북해 브랜트유:유럽, 아프리카 지역 중심, 영국 소유의 브랜트유 가격(품질 중간)
*원유의 단위:배럴(Barrel, 나무통) 159L
19c 미국 펜실베니아 원유 수송시 사용한 나무통 규격
-원유의 가격 움직임
08년 원유, 왜 145불까지 올랐나?
09년 원유, 왜 35불까지 내렸나?
레버리지 효과[leverage effect]
타인의 자본을 지렛대 삼아 자기자본이익률을 높이는 것으로 지렛대효과 라고도 한다.
생존 포인트
경기 회복기에 자신 비중↑'원유'
-석유가격 왜 급등했나?
*Peak Oil 이론 (석유 수급 불안)
석유생산 최고 정점이 언제냐는 이론
현재까지 확인된 유전:총1조1500억 배럴. 약 37년간 사용가능한 분량(연간 수요량 310억배럴)
따기 쉬운 과일은 모두 땄고, 나무 꼭대기에만 존재
*원유 생산국의 지정학적 불안
이라크 전쟁, 러시아와 베네수엘라 석유무기화 등
*신흥 공업국(중국, 인도 등)와 석유 수요 급증
-원유가격 왜 폭락했나?
*경기 급락으로 인한 수요감소, 공급초과 발생
09년 원유소비량 -3%예상
산유국들도 경제난으로 공급량 줄이기 곤란
*해지펀드 중 투기세력의 몰락
원자재 투기 세력들, 금융위기로 대거 탈출(유지비)
골드만삭스, 원유가격 200불 돌파 전망 보고서
발간 직후 원유가격 폭락 시작
-원자재 가격, 어디로 갈 것인가?
*가격 하락요인
세계경제 디플레이션 지속 - 수요 감소
산유국들의 경기침체로 원유 감산 애로
*가격 상승요인
세계경제 경기회복시 - 원자재 소비 급증 + 통화량 급증으로 인한 인플레이션 우려
원유 생산비를 배럴당 약 35불
*두가지 요소가 혼재된 상황
-원자재 어떻게 투자하나?
*직접 투자
미국 선물시장:높은 증거금과 위험도
미국 ETF:거래비용, 환율 변동 위험
*간접 투자
원자재 펀드:국내 증권사 등에서 취급
여기서 잠깐! 한국 거래소는
채권, 금 ETF를 6월 상장하고, 상품(원유등) ETF개발에 나설 계획이라고 밝혔다.(2009년)
구리, 철 가격
원유 가격의 반등
1000만원 중에서 200,300을 투자 하고
펀드 수수료 낮은거에 원유 비중이 높은 펀드를 찾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