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채권[bond]
국가, 지자체, 은행, 회사 따위가 사업에 필요한 자금을 차입하기 위하여 발행하는 유가증권, 국.공채, 사채 등
검은 백조가 날아다닌 채권시장
1919.10 V-I-Levin 사회주의 혁명에서 생산 수단 국유화
-검은 백조를 아십니까?
*2008년 금융시장의 검은 백조는?
역사상 가장 큰 국유화:프레디맥, 페니메, AIG
1년 사이에 전 세계 GDP가 2천조원 사라짐.
2600억불 외환보유고 국가에서 외환부도 위험성 제기되며 환율 급상승
*최고의 '검은 백조'는?
08년 12월 4주만기 미국 국제금리
마이너스 돌입
예금과 채권의 차이
채권이란 무엇인가?
채권=돈을 빌리고 써주는 종이
-예금과 채권의 차이
*채무자가 누구인가?
국채, 공공채, 지방채, 은행채, 카드채, 회사채 등
채무자와 신용도에 따라 등급과 이자가 달라짐
*발행장소와 발권표시 화폐에 따라
미국:양키 본드 일본:사무라이 본드 한국:아리랑 본드 영국:불독 본드
채권의 특징
채권은 활발한 거래의 대상
채권 할인율이 높다→이자를 많이 준다.
가산금리
채권이나 대출금리를 정할 때 기준 금리에 덧붙이는 위험가중 금리
*정크 본드 헌터
쓰레기 채권 사냥꾼
-주식과 채권의 관계
주식시장 강세시
자금:채권시장→주식시장
위험자산 선호
채권금리 상승(채권가격 하락)
그래프
주가와 채권은 항상 반대방향
주식시장 약세시
자금:주식시장→채권시장
안전자산 선호
채권금리 하락(채권가격 상승)
그래프
금리가 높아지는 경우
경기가 너무 좋을 경우
08년 12월의 검은 백조는?
08년 10월 4주만기 미국 국채금리 마이너스 돌입
극단적인 안전자산 선호현상
현금 외에는 어떤 투자자산도 믿지 못하겠다는 의미
현금보유 그 자체보다는 손해지만, 다른 어떤 투자자산보다도 안전하다는 믿음 때문이었음
29분쯤에 경제 순환곡선 적기
반응형